목차
안녕하세요.
최근에 BYD에서 신규로 국내에 아토3 Atto3를 런칭 했는데요.
중국에서는 Yuan(아토3의 중국명)의 페이스 리프트가 등장 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에서 공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한 차이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비야디 신형 Yuan Plus와 국내 판매 중인 아토3 의 차이점 비교
중국의 전기차 제조업체 비야디(BYD)는 최근 신형 Yuan Plus의 실차 이미지를 공개하며 업그레이드된 디자인과 기능을 예고했습니다. 이번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외관 변화와 운전 보조 시스템의 향상이 주 차별점인것 같습니다. 중국의 페이스리프트 Yuan Plus 모델과 비교시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이점을 알아볼게요!
1. 외관 디자인 비교 :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및 외관 디자인 변경
신형 Yuan Plus (아토3의 중국명) 는 전면 범퍼 디자인이 조정되었으며, 선택 사양으로 삼중 카메라와 앞 펜더 위치 카메라가 추가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지능형 운전 보조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연결됩니다.
아토3는 세련된 곡선형 디자인과 깔끔한 전면부가 특징으로, LED 라이트와 통합된 전면 그릴이 돋보입니다. 후면부 역시 현대적인 일체형 테일램프를 채택하고 있지만, Yuan Plus에 추가된 세로형 고위 브레이크등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기존 아토3와 디자인 차별점
운전자 보조 시스템 : 3개의 전방카메라와 펜더 위치 카메라 추가
측면부 : 도어 하단의 크롬 장식과 D필러 장식 변경
후면부: 일체형 테일램프를 유지하면서도 스포일러 중앙에 세로형 브레이크등을 새롭게 추가
그외 : 도어 하단 크롬 몰딩 디자인 변경, D필러 장식 변경, 리어 디퓨저 재설계
2. 차체 크기 비교
- 신형 Yuan Plus (아토3의 중국명)
- 길이: 4455mm
- 너비: 1875mm
- 높이: 1615mm
- 휠베이스: 2720mm
- 아토3
- 길이: 4455mm
- 너비: 1875mm
- 높이: 1615mm
- 휠베이스: 2720mm
두 모델의 차체 크기는 동일하지만, 외관 디테일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아토3는 한국 소비자의 선호에 맞춘 세부 디자인 요소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3. 내부 디자인 및 기능
신형 Yuan Plus의 내부 디자인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기존 모델에서는 플로팅 타입의 중앙 디스플레이와 평평한 하단 스티어링 휠이 주요 특징이었습니다. 신형 모델에서는 일부 디테일 조정과 더불어 새로운 기술이 도입될 가능성이 큽니다.
아토3는 실내에서 젊고 현대적인 분위기를 제공합니다. 12.8인치 회전형 디스플레이와 LED 앰비언트 라이트를 통해 한국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으며, 고급스러운 소재 사용이 돋보입니다.
4. 성능 및 배터리 사양
중국 페이스리프트 모델 60.48kWh 배터리 적용 (국내와 동일)
신형 Yuan Plus는 최대 출력 150kW의 모터를 탑재하며, 배터리 용량으로 49.92kWh와 60.48kWh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행 거리는 각각 430km와 510km로,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아토3는 60.48kWh 배터리를 탑재하며, 결론적으로 중국의 페이스리프트 모델과 비교시 배터리의 용량은 변화가 없습니다. 주행거리는 한국 인증 기준으로 1회 충전 시 약 420km의 제공합니다.
5. 가격 비교
신형 Yuan Plus의 중국 내 가격은 11.98만 위안(약 2,180만 원)에서 14.78만 위안(약 2,690만 원) 사이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아토3는 한국 시장에서 약 4,000만 원 대의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는 관세와 추가 옵션, 현지화 비용 등이 포함된 결과입니다.
6. 경쟁 모델 및 시장 위치
Yuan Plus는 지리의 Galaxy E5와 Aion의 AION Y와 경쟁하며, 2024년 12월 기준 23,048대의 판매량으로 해당 세그먼트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아토3는 현대 코나 EV 및 기아 니로 EV 등과 경쟁하며, 한국 전기차 시장에서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결론
비야디의 최근 공개된 중국형 아토3의 페이스리프트 모델 Yuan Plus와 국내 기존의 아토3는 디자인 부분의 조금의 차이를 보이나 크게 영향을 받을것 같지는 않고 운전자 보조시스템의 향상이 눈에 돋보입니다. 그러나 기존 모델의 상품성이 좋은 만큼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것 같습니다. 현명한 구매결정 하시길 바랍니다.